구글검색기록, 유튜브 검색기록도 삭제, 자동완성 끄기를 할 수 있다. 구글은 맞춤 탐색, 광고를 위해 '사용자의 동의'를 얻어 개인정보인 검색기록 log를 수집한다. 사용자는 수집된 검색기록을 언제든지 삭제할 수 있다.
크롬 - 설정 - 개인정보 및 보안 -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를 통해 방문기록, 쿠키 등을 삭제할 수 있다. 하지만 이걸로 구글 검색기록을 삭제할 수는 없다.
구글/유튜브 검색 기록을 삭제하려면 '구글 계정관리' 페이지[링크]에 접속해야 한다. 데이터 및 계정 정보보호를 선택한다. 웹 및 앱 활동, 위치기록, 유튜브 기록 설정을 '일시중지'한다.
'사용안함' '체크해제'를 한다.
구글서비스에서 더 빠른 검색, 개선된 추천 기능, 맞춤설정된 환경을 포기하고 개인 정보 보호를 선택한다. 어차피 구글이 추천한 검색어보다 내가 검색하려는 것을 검색하려는 것이기 때문에 상관없다. 유튜브도 계속 보다 보면 바보가 되기 때문에 굳이 맞춤 추천 받을 필요도 없고 요즘은 룩북, 이슈 메이킹이나 뜨기 탐색에 뜨기 때문에 불필요한 것 같다. 노이즈가 심하다.
모든 웹 및 앱 활동관리 - 삭제 - 전체기간을 선택하면 그동안 구글 계정에 저장된 구글 검색기록을 삭제할 수 있다. 유튜브 검색 기록 역시 마찬가지로 진행하면 된다.
이제 구글/유튜브에 내가 검색한 내역이 나타나지 않는다.
끝으로 피시방 같은데서 크롬 접속 시 '계정 로그인'은 되도록이면 하지 말고 '시크릿 모드'로 비공개 탐색하자. 이 기기를 사용하는 다른 사용자가 내 활동을 볼 수 없다. 검색 기록이 저장되지 않기 때문에 광고 마케터들은 순수하게 플랫폼 검색 결과를 보고 싶은 경우 시크릿 모드를 이용하기도 한다.
구글 검색기록 삭제, 시크릿모드 등의 꿀팁이 도움되길 바란다. 당신의 검색 생활을 응원한다.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기신도시 재건축 특별법 분석 (0) | 2022.09.05 |
---|